자바에서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여러가지 방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Continue reading직렬화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에 Serializable과 Parcelable 두 개가 있다.
그 중에서 Serializable을 공부하던 중 이것이 마커 인터페이스라고 부르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생긴 의문은 도대체 마커 인터페이스는 무엇인가
안드로이드 개념을 공부하던 중 직렬화라는 개념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 직렬화란 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정보를 byte 단위의 코드로 나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객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Continue reading자바를 공부하며 항상 등장하는 말은 컴파일과 런타임이다. 하지만 두 용어에 대한 개념이 확실하지 않아 이번 기회에 정리하고 넘어가겠다.
Continue readingStatic이라는 키워드는 보통 변수나 메소드 앞에서 사용한다.
iterator
iterator는 자바의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컬렉션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들을 읽어오는 방법을 표준화 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iterator입니다. 쉽게 말하면 컬렉션으로부터 정보를 얻어내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또한, iterator는 인터페이스이며 그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tinue reading자료구조란 자료(data)를 컴퓨터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해주는 알고리즘을 뜻합니다.
(효율적 : 실행시간 최소화, 계산의 간편화 등등)
이번에는 Priority Queue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