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간단하게 개발하면서 Fragment -> Activity로 값을 전달하는 경우가 있었다. Activity -> Fragment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는 Bundle
객체를 사용하여 값을 담아서 전달한다. 그렇다면 반대의 경우는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주제는 Android Architecture Components 중 하나인 ViewModel
이다. 해당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하다보면 겪는 문제 중 하나는 생명주기와 관련된 것이다. 그 중에서 액티비티와 프래그먼트의 생명주기는 많은 상태와 여러 가지 케이스에 따른 복잡함으로 예전부터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까다로운 존재임이 분명하다.
예를 들면, 런타임에 화면 방향이 전환되거나 언어, 글꼴 배율과 같은 기기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를 다루려면 세심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경이 일어나는 경우, 안드로이드는 실행 중인 액티비티를 종료하고 메모리에서 제거한 후 다시 생성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액티비티에 종속된 UI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은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다.
화면 회전에 대한 해결책
액티비티가 종료되기 직전 호출되는 onSaveInstanceState()
콜백에서 액티비티의 상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직렬화할 수 없는 객체는 저장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방법은 애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디자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에 공부하면서 처음 본 방법이 또 있다. 유보된 프래그먼트(Retained Fragment)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UI가 없는 워크(헤드리스) 프래그먼트 개념을 도입해 이곳에서 UI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프래그먼트를 setRetainInstance(true)로 설정함으로써 액티비티 재생성시, 프래그먼트를 메모리에 유지(즉, 소멸시키지 않고 유보)시키는 것이다.
이때 프래그먼트는 액티비티에서 분리(onDetach)된 후 새로운 액티비티로 다시 호스팅(onAttach)될 뿐 소멸과 생성을 반복하지 않는다. 하지만, 프래그먼트 도입은 또 다른 **엣지 케이스(일정한 범위를 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를 다뤄야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고난의 장을 여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곳이 데이터를 보관하기에 적합한 곳인가? 혹은 오버 엔지니어링이 아닐까?라는 논쟁의 여지가 존재했다.
프래그먼트 이슈에 지친 개발자들은 프래그먼트 없이 개발하기와 같은 방법론에 매료될 정도로, 프래그먼트는 혼란스러움을 대표했다.
ViewModel로 해결하기.
# ViewModel
ViewModel 클래스는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UI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화면 전환과 같이 설정이 변경되는 상황에서도 data가 계속 남아있을 수 있도록 해준다.
Continue reading